‘DMZ를 세계유산으로’학술심포지엄 개최 계획



DMZ 내 냉전유적 및 자연생태 등 전 인류가 보호해야 할 가치 발굴과 보전을 위하여 세계유산 등재추진 기반조성 사업의 일환으로 학술심포지엄을 개최하고자 함



1

행사개요


□ 일시/장소 : 2019. 4. 23.(화)10:00~12:00 / 국회도서관 대강당

□ 주최 : 국회의원 46명(정성호 기재위원장 등) 공동, 국회의원연구단체(통일을 넘어 유라시아로)

□ 주관 : 경기도 ‧ 경기문화재단

□ 참석대상 : 평화부지사, 국회의원, 도의원, 세계유산전문가 등 300명

○ 통일부, 문화재청, 자치단체(경기도, 강원도, 파주시‧연천군 등)

○ 세계유산전문가, 문화유산전문가, 자연유산전문가 등

□ 주요내용 : DMZ 세계유산 등재 추진 관련 정책‧생태‧유산‧남북교류분야 전문가의 주제발표 및 토론


2

세부계획(안)

시  간

내   용

비 고

1부

10:00

10:05

05′

개회선언

(국민의례,내빈소개)

사회자 조영민 본부장

(경기도 중앙협력본부)

10:05

10:15

10′

인사말씀

국회의원, 평화부지사

10:15

10:20

05′

기념촬영

다같이 

2부



10:20

10:30

10′

남북문화재교류협력 추진현황과 과제

최종덕 소장

(국립문화재연구소)

10:30

10:40

10′

주제발표


DMZ 평화적 이용을 위한 

남북협력 및 과제

정대진 교수

(아주대학교 통일연구소)

10:40

10:50

10′

DMZ 생태의 세계유산적 가치

조도순 교수

(카톨릭대학교)

10:50

11:00

10′

DMZ 내 근대문화재 현황과 세계유산 등재 검토

안창모 교수 

(경기대학교)

11:00

11:10

10′

DMZ 세계유산 등재를 위한

북측과의 교류방향 제안

신준영 교수

(남북역사학자협의회)

11:10

12:00

50′

토론

토론진행자 : 이혜은 

(동국대학교 석좌교수)

최용환 대외전략연구실장

(국가안보전략연구원)

우경식 교수

(강원대학교)

김정신 명예교수

(단국대학교)

이영동 집행위원장

(남측 민화협)

12:00

12:00

폐 회

다같이

12:00

13:30

오찬

- 1 -

붙임 1

발표자 및 토론자 현황

사 진

직 위

성 명

주요 경력

 

동국대학교

석좌교수

이혜은

(좌장)

現 동국대학교 석좌교수

ㆍ전 IOCMOS 집행위원

ㆍMichigan주립대 박사

 

아주대학교

통일연구소

교수

정대진

現 아주대학교 통일연구소 교수

ㆍ전 한국고등교육재단 연구위원 

ㆍ연세대학교 통일학 박사

 

가톨릭대학교

생명환경학부

교수

조도순

ㆍ現 가톨릭대학교 교수

‧ 現 유네스코 MAB 한국위원장

ㆍ現 문화재청 세계유산분과 위원

ㆍ오하이오 주립대학교 박사

 

경기대학교

건축학과

교수

안창모

ㆍ現 경기대학교 교수

ㆍ문화재청 근대문화유산분과 위원

ㆍ서울대학교 건축학과 공학박사

 

남북역사학자협의회

사무국장

신준영

現 남북역사학자협의회 사무국장

전 민족 21 편집장

 

국가안보전략연구원

대외전략연구실장

최용환

現 국가안보전략연구원 대외전략연구실장

ㆍ전 경기연구원 통일동북아센터장

ㆍ연세대학교 박사

 

강원대학교

지질학과 교수

우경식

ㆍ現 강원대학교 지질학과 교수(1986~현재)

ㆍ現 IUCN WCPA 지질유산전문가그룹 의장 (2013~현재)

現 IUCN 세계유산  실사자문관(2009~현재)

ㆍ現 문화재청 문화재위원(2011~현재) 

現 서남해안갯벌 세계자연유산 추진위원장 (2014~현재)

ㆍ前 국제동굴연맹 회장(2013~2017)

ㆍ前 아시아태평양지질공원 자문위원(2019~2017)

 

단국대학교

건축학과

명예교수

김정신

ㆍ現 단국대학교 건축학과 명예교수

ㆍ서울대학교 건축학과 공학박사

ㆍ영국 Bath대학 건축공학과 객원교수

 

남측

민화협

집행위원장

이영동

ㆍ現 남측 민화협 상임집행위원

ㆍ남북경협포럼 공동대표



□ 남북문화재교류협력 추진현황과 과제

사 진

직 위

성 명

주요 경력

 

국립문화재연구소장

최종덕

문화재청 문화재정책국장(‘16~’18년)

ㆍ서울대학교 건축학 박사



□ 사회자

사 진

직 위

성 명

주요 경력

 

경기도중앙협력본부장

조영민

ㆍ現 경기도중앙협력본부장(2018. 7.~)


- 2 -

붙임 2

DMZ 세계유산 등재 추진 현황 


□ 배  경

○ DMZ 일원 도로 및 철도개설, 각종 관광사업이 계획중으로 DMZ 일원의문화유산 및 자연유산적 보존가치 발굴 전 무분별한 개발이 우려되어 세계유산으로 등재 추진을 통한 선제적‧선택적 보호조치 필요

※ 독일의 사례 : 통일을 대비한 마스터플랜이 없어 종전 후 무분별한 개발로 보존할 가치가 있는 문화유산과 자연유산이 많이 파괴된 상태임


DMZ 현황

DMZ(Demilitarized Zone)

-  1953.7.27. 정전협정으로 설정된 군사분계선의 남‧북방 각 2km이내 구역으로 남방한계선과 북방한계선 사이의 완충지역

길이 248㎞ : 경기 103㎞(41.5%), 강원 145㎞(58.5%)

면적 886㎢ : 남한 453㎢[경기 153㎢(33.8%), 강원도 300㎢(66.2%)], 북한 433㎢


□ 사업개요

○ 사업기간 : 2019.1. ~ 세계유산 등재시까지 지속 추진

○ 주요내용 : 세계자연유산등재기반 구축(자료수집 및 기초연구) 

(단위 : 억원)

구  분

연도별 예산액

비고

2018년

2019년

2020년

2021년

2022년

2022년 이후

4

0

2

2

0

0

0

국  비

0

미확정

미확정

미확정

도  비

4

2

2

미확정

미확정

미확정


□ 사업개요

 DMZ 세계유산등재 추진 문화재청 관계자 협의‧자문: ‘18.6, ‘18.11, ‘19.2.

 DMZ 세계유산 등재 기반 구축 및 생태환경조사 관계자 회의: ‘18.12.

 경기- 강원 DMZ 세계유산 등재 공동추진을 위한 강원도 관계자 협의: ‘19.3.6.

 DMZ 보존관리 남북공동추진 중앙정부 정책과제 포함 건의(공문발송): ‘19.3.11.

 DMZ 세계유산 등재 추진을 위한 문화재청- 경기도 협력방안 협의: ‘19.3.14.


□ 기대효과

○ DMZ 세계유산 등재에 따른 자연생태환경의 체계적인 보호 및 전쟁의역사에 대한 국내외 산교육의 장으로 활용하는 등 안보‧생태 관광자원으로 부각

- 3 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