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DMZ를 세계유산으로’학술심포지엄 개최 계획 |
DMZ 내 냉전유적 및 자연생태 등 전 인류가 보호해야 할 가치 발굴과 보전을 위하여 세계유산 등재추진 기반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하고자 함 |
1 |
행사개요 |
□ 일시/장소 : 2019. 4. 23.(화) 10:00~12:00 / 국회도서관 대강당
□ 주최 : 국회의원 46명(정성호 기재위원장 등) 공동, 국회의원연구단체(통일을 넘어 유라시아로)
□ 주관 : 경기도 ‧ 경기문화재단
□ 참석대상 : 평화부지사, 국회의원, 도의원, 세계유산전문가 등 300명
○ 통일부, 문화재청, 자치단체(경기도, 강원도, 파주시‧연천군 등)
○ 세계유산전문가, 문화유산전문가, 자연유산전문가 등
□ 주요내용 : DMZ 세계유산 등재 추진 관련 정책‧생태‧유산‧남북교류분야 전문가의 주제발표 및 토론
2 |
세부계획(안) |
시 간 |
내 용 |
비 고 |
||||
1부 |
10:00 |
10:05 |
05′ |
개회선언 (국민의례,내빈소개) |
사회자 조영민 본부장 (경기도 중앙협력본부) |
|
10:05 |
10:15 |
10′ |
인사말씀 |
국회의원, 평화부지사 |
||
10:15 |
10:20 |
05′ |
기념촬영 |
다같이 |
||
2부 |
10:20 |
10:30 |
10′ |
남북문화재교류협력 추진현황과 과제 |
최종덕 소장 (국립문화재연구소) |
|
10:30 |
10:40 |
10′ |
주제발표 |
DMZ 평화적 이용을 위한 남북협력 및 과제 |
정대진 교수 (아주대학교 통일연구소) |
|
10:40 |
10:50 |
10′ |
DMZ 생태의 세계유산적 가치 |
조도순 교수 (카톨릭대학교) |
||
10:50 |
11:00 |
10′ |
DMZ 내 근대문화재 현황과 세계유산 등재 검토 |
안창모 교수 (경기대학교) |
||
11:00 |
11:10 |
10′ |
DMZ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북측과의 교류방향 제안 |
신준영 교수 (남북역사학자협의회) |
||
11:10 |
12:00 |
50′ |
토론 |
토론진행자 : 이혜은 (동국대학교 석좌교수) |
최용환 대외전략연구실장 (국가안보전략연구원) 우경식 교수 (강원대학교) 김정신 명예교수 (단국대학교) 이영동 집행위원장 (남측 민화협) |
|
12:00 |
12:00 |
폐 회 |
다같이 |
|||
12:00 |
13:30 |
오찬 |
- 1 -
붙임 1 |
발표자 및 토론자 현황 |
사 진 |
직 위 |
성 명 |
주요 경력 |
|
동국대학교 석좌교수 |
이혜은 (좌장) |
ㆍ現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ㆍ전 IOCMOS 집행위원 ㆍMichigan주립대 박사 |
|
아주대학교 통일연구소 교수 |
정대진 |
ㆍ現 아주대학교 통일연구소 교수 ㆍ전 한국고등교육재단 연구위원 ㆍ연세대학교 통일학 박사 |
|
가톨릭대학교 생명환경학부 교수 |
조도순 |
ㆍ現 가톨릭대학교 교수 ‧ 現 유네스코 MAB 한국위원장 ㆍ現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 위원 ㆍ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박사 |
|
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|
안창모 |
ㆍ現 경기대학교 교수 ㆍ문화재청 근대문화유산분과 위원 ㆍ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공학박사 |
|
남북역사학자협의회 사무국장 |
신준영 |
ㆍ現 남북역사학자협의회 사무국장 ㆍ전 민족 21 편집장 |
|
국가안보전략연구원 대외전략연구실장 |
최용환 |
ㆍ現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대외전략연구실장 ㆍ전 경기연구원 통일동북아센터장 ㆍ연세대학교 박사 |
|
강원대학교 지질학과 교수 |
우경식 |
ㆍ現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교수(1986~현재) ㆍ現 IUCN WCPA 지질유산전문가그룹 의장 (2013~현재) ㆍ現 IUCN 세계유산 실사자문관(2009~현재) ㆍ現 문화재청 문화재위원(2011~현재) ㆍ現 서남해안갯벌 세계자연유산 추진위원장 (2014~현재) ㆍ前 국제동굴연맹 회장(2013~2017) ㆍ前 아시아태평양지질공원 자문위원(2019~2017) |
|
단국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 |
김정신 |
ㆍ現 단국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 ㆍ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공학박사 ㆍ영국 Bath대학 건축공학과 객원교수 |
|
남측 민화협 집행위원장 |
이영동 |
ㆍ現 남측 민화협 상임집행위원 ㆍ남북경협포럼 공동대표 |
□ 남북문화재교류협력 추진현황과 과제
사 진 |
직 위 |
성 명 |
주요 경력 |
|
국립문화재연구소장 |
최종덕 |
ㆍ문화재청 문화재정책국장(‘16~’18년) ㆍ서울대학교 건축학 박사 |
□ 사회자
사 진 |
직 위 |
성 명 |
주요 경력 |
|
경기도중앙협력본부장 |
조영민 |
ㆍ現 경기도중앙협력본부장(2018. 7.~) |
- 2 -
붙임 2 |
DMZ 세계유산 등재 추진 현황 |
□ 배 경
○ DMZ 일원 도로 및 철도개설, 각종 관광사업이 계획중으로 DMZ 일원의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적 보존가치 발굴 전 무분별한 개발이 우려되어 세계유산으로 등재 추진을 통한 선제적‧선택적 보호조치 필요
※ 독일의 사례 : 통일을 대비한 마스터플랜이 없어 종전 후 무분별한 개발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이 많이 파괴된 상태임
DMZ 현황 |
||
▶ DMZ(Demilitarized Zone) - 1953.7.27. 정전협정으로 설정된 군사분계선의 남‧북방 각 2km이내 구역으로 남방한계선과 북방한계선 사이의 완충지역 ▶ 길이 248㎞ : 경기 103㎞(41.5%), 강원 145㎞(58.5%) ▶ 면적 886㎢ : 남한 453㎢[경기 153㎢(33.8%), 강원도 300㎢(66.2%)], 북한 433㎢ |
□ 사업개요
○ 사업기간 : 2019.1. ~ 세계유산 등재시까지 지속 추진
○ 주요내용 : 세계자연유산등재기반 구축(자료수집 및 기초연구)
(단위 : 억원)
구 분 |
계 |
연도별 예산액 |
비고 |
|||||
2018년 |
2019년 |
2020년 |
2021년 |
2022년 |
2022년 이후 |
|||
계 |
4 |
0 |
2 |
2 |
0 |
0 |
0 |
|
국 비 |
0 |
미확정 |
미확정 |
미확정 |
||||
도 비 |
4 |
2 |
2 |
미확정 |
미확정 |
미확정 |
□ 사업개요
DMZ 세계유산등재 추진 문화재청 관계자 협의‧자문: ‘18.6, ‘18.11, ‘19.2.
DMZ 세계유산 등재 기반 구축 및 생태환경조사 관계자 회의: ‘18.12.
경기- 강원 DMZ 세계유산 등재 공동추진을 위한 강원도 관계자 협의: ‘19.3.6.
DMZ 보존관리 남북공동추진 중앙정부 정책과제 포함 건의(공문발송): ‘19.3.11.
DMZ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위한 문화재청- 경기도 협력방안 협의: ‘19.3.14.
□ 기대효과
○ DMZ 세계유산 등재에 따른 자연생태환경의 체계적인 보호 및 전쟁의 역사에 대한 국내외 산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등 안보‧생태 관광자원으로 부각
- 3 -